메뉴 건너뛰기

(주)서호 KS Q ISO/IEC 17025 국제공인교정기관 제약분야전문교정기관

식품관련자료

해외 각국 정부, 주요 언론이 발표한 식품안전 정책, 법령, 사건, 사고, 연구조사 결과 등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준·규격이란?
◈ “식품 등의 기준 및 규격”이란 식품 섭취를 통한 인체 위해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유통·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등의 위해 요소(화학적, 생물학적, 물리적) 관리하기 위한 규정을 말합니다. 인체 노출량이 많은 식품에 대한 기준과 규격을 설정하여 유해물질에 대한 인체노출 허용량이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제조·가공, 생산, 수입, 유통 및 보존 등에 관한 기준 및 규격과 기능성 원료에 대한 기준 및 규격을 정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기능성과 안전성을 재평가 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여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 식품 등의 기준·규격은 ‘안전’과 ‘위험’을 나누는 경계가 아닙니다. 특정 식품에 대해 특정 유해물질에 대한 기준·규격을 설정하는 것은 물질별 특성에 따라 해당 유해물질을 안전한 수준 이내로 관리하여 안전성을 보장하고, 사용목적과 인정요건에 대한 준수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식약처는 보다 안전한 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준 마련을 위하여 해당 식품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노출량 분석 및 위해평가 등의 과학적인 근거 자료를 검토하고 업계, 학계, 소비자단체, 관련 분야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준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기구·용기·포장에 대해 제조·가공·사용·조리·보존 방법에 관한 기준과 성분에 관한 규격을 정하고 있으며, 식품의 특성에 따른 안전관리를 위해 유형별 기준·규격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해오염물질, 미생물, 농약, 동물용의약품 등 720여종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환경오염, 식습관 변화로 인한 노출량 적정관리를 위해 5년 주기로 기준·규격 재평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편, 식품 등의 수출입이 증가하면서 기준·규격의 국제조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교역량이 많은 주요 상대국들의 기준·규격 관련 정보를 국내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리요소별 관리방안

 기준·규격은 화학적 관리요소, 생물학적 관리요소, 물리적 관리요소로 나누어 관리됩니다.  우선 화학적 관리요소는 의도적 사용 물질(농약, 동물용의약품, 식품첨가물 등)과 비의도적 오염물질(중금속, 벤조피렌, 방사능물질 등)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의도적 사용 물질의 경우 사전 승인이 되지 않은 물질은 안전성과는 별개로 원칙적으로 식품에 사용할 수 없도록 관리하며, 사용 목적의 타당성이 인정되고 안전성이 입증된 경우에 한하여 인체노출 허용량(ADI 등) 이내에서 기준을 설정합니다. 농약, 동물용의약품, 식품첨가물 등 특정 목적(병해충방제, 질병치료)이나 용도(유화제, 감미료 등)로 사용 승인된 물질에 대해서는 대상(작물, 동물, 식품)별 사용기준 또는 잔류허용기준(MRL)을 설정합니다. ▲비의도적 오염물질에 대해서는 환경오염이나 제조 과정 등에서 이행, 생성되는 물질에 대하여 최소량의 원칙 (ALARA)을 적용하여 필요시 기준을 설정합니다. 비의도적 오염물질의 경우 저감화 또는 섭취제한 등 교육·홍보를 통해 관리가 어려운 경우 식품 중 오염물질의 농도(오염도 자료)와 인체노출허용량(TDI 등)을 고려하여 기준·규격을 설정합니다.

 둘째, 미생물 등 생물학적 관리요소는 식품의 생산, 제조, 보관, 유통 환경 및 섭취방법 등에 따른 위해수준을 고려하여 기준을 설정하며, 인체에 영향을 주는 식중독균은 위생지표균과 구분하여 기준을 설정합니다.

 셋째, 물리적 관리요소로는 이물과 압착강도를 관리합니다. ▲이물이란 식품 등의 제조·가공·조리·유통 과정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된 원료 또는 재료가 아닌 것으로서 섭취할 때 위생상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섭취하기에 부적합한 물질을 말합니다.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고 혐오감을 주거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거나 섭취하기에 부적합한 재질, 크기 등의 자료에 기초하여 기준을 설정합니다. ▲압착강도의 경우 컵모양 젤리 제품에 대하여 기도 폐쇄에 의한 질식사고 방지를 위해 설정(5 Newton 이하)합니다.
 

< 관리요소별 기준 설정 현황(‘17.3.3 기준) >
구분 종류
화학적
관리요소
의도적 농약 242품목에 462종의 잔류농약
동물용의약품 60품목에 185종의 잔류동물용의약품
식품첨가물 608품목(합성 411품목, 천연 197품목)
기구등의 살균소독제 살균소독제 성분 13제제, 94종
비의도적 중금속 6종(납, 카드뮴, 총수은, 메틸수은, 총비소, 주석)
곰팡이독소 8종(총 아플라톡신, 아플라톡신 B1, 아플라톡신 M1, 파튤린,
푸모니신,오크라톡신 A, 데옥시니발레논, 제랄레논)
자연독소 4종(마비성 패독, 설사성 패독, 복어독, 히스타민)
유기오염물질 2종(다이옥신, PCBs)
제조과정 생성물질 등 3종(벤조피렌, 3-MCPD, 멜라민)
기구 및 용기·포장 유래 이행물질 104항목
생물학적
관리요소
비의도적 세균, 바이러스 등 식중독균 12종, 위생지표균 3종, 바이러스 1종
물리적
관리요소
- 이물 등 이물(유리, 금속 등), 압착강도(컵 모양젤리)
사용금지 물질 - - 발기부전치료제, 비만치료제 등


   사용금지 물질 : 식품위생법 제6조(기준‧규격이 고시되지 아니한 화학적 합성품 등의 판매 등 금지)에 따라 
                  사전 사용․승인 되지 않은 화학물질은 사용금지

 

www.seoho.biz

서호 전북 전주시 덕진구 혁신로 586 (54851)

Tel. 063-214-9325 / Fax. 063-214-9328

seoho@seoho.biz


  1. '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e-book)

    ※ '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e-book으로 보기 20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pdf 미리보기 다운받기 20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서식모음.hwp
    Views11063
    read more
  2.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평가(심사) 매뉴얼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평가(심사) 매뉴얼 Part Ⅰ.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심사 개요 / 1 1.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심사 개요 ·············&...
    Views3332
    read more
  3. 새로운 식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1. 새로운(한시적) 식품원료 인정제도 ·························&midd...
    Views2658
    read more
  4.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제도

    HACCP제도는 1993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HACCP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전세계 회원국에 식품 안전성 제고를 위하여 HACCP제도 도입을 권고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1995년 「식품위생법」에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규정을 신...
    Views577
    Read More
  5.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규격 해설서 2020-09-25

    I. ·····························&middo...
    Views530
    Read More
  6. 식품「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7-109호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2017. 12. 26.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7-109호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1. 개정 이유 기구 및 용기·...
    Views520
    Read More
  7.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개정고시(식약처 고시 제2018-60호

    기준·규격이란? ◈ “식품 등의 기준 및 규격”이란 식품 섭취를 통한 인체 위해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고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유통·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등의 위해 요소(화학적, 생물학적, 물리적) 관리하기 위한 규정을 ...
    Views489
    Read More
  8. 이물관리 표준작업지침서(2017년)

    이물관리 표준작업지침서(2017년)
    Views414
    Read More
  9. '식품공전 해설서' 개정판(2019년 1월)

    '식품공전 해설서' 개정판(2019년 1월)
    Views399
    Read More
  10. 프랜차이즈 식품업체 위생관리 매뉴얼

    <목차> 1. 프랜차이즈의 개념 2. 프랜차이즈 영업의 특성 3. 단계별 위생관리 4. 위생관리 5. 식품별 중점관리 POINT 첨부 1. 위생관리 점검표(납품업체, 물류센터, 가맹점) 2. 관련 법규 3. 이물발생 시 대응요령
    Views373
    Read More
  11. HACCP 적용분야

    적용분야 식품 및 즉석판매제조·가공업,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소분업, 집단급식소 및 기타식품판매업, 식품접객업 및 집단급식소 등 식품의 제조·가공·유통·외식·급식의 모든 분야에 적용됩니다. 2003년...
    Views361
    Read More
  12.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분류체계(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고시 제2017-001호, 2017.6.20. 제정)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분류체계」제정 (안) 제1조(목적) 이 고시는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진흥법」 제11조 및 같은법 시행규칙 제4조에 따른 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분류체계를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식품・의약품 등의 안전기...
    Views333
    Read More
  13. HACCP 제도

    관련 법령 「식품위생법」 제48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33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제34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적용업소에 관한 업무의 위탁 등)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62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대상 식품) ~제68조(식품...
    Views322
    Read More
  14. 2018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Ⅰ. 식품안전관리 목표 및 주요시책 1. ’18년도 식품안전관리 정책 추진 전략 3 2. 식품안전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 3. 통합식품안전정보망(식품행정통합시스템) 활용 8 Ⅱ. 안전한 식품의 제조・유통기반 조성 1. 식품등의 영업허가 등 관리 15 2. 식품 ...
    Views313
    Read More
  15.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갱년기 여성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개정

    이 가이드라인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를 개발하는 연구자 및 영업자에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기능성(갱년기 여성건강도움)에 대한 바이오마커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산업체의 기능성원료 연구개발에 적정을 기하고 효율 성을 높이고자 작성되었다. www...
    Views291
    Read More
  16. HACCP 이란?

    추진체계 위해요소 분석이란 “어떤 위해를 미리 예측하여 그 위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요관리점이란 “반드시 필수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항목”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즉 해썹(HACCP)은 위해 방지를 위한 사...
    Views27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