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서호 KS Q ISO/IEC 17025 국제공인교정기관 제약분야전문교정기관

식품관련자료

해외 각국 정부, 주요 언론이 발표한 식품안전 정책, 법령, 사건, 사고, 연구조사 결과 등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2018.11.22 11:33

HACCP 적용분야

조회 수 3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적용분야

  • 식품 및 즉석판매제조·가공업,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소분업, 집단급식소 및 기타식품판매업, 식품접객업 및 집단급식소 등 식품의 제조·가공·유통·외식·급식의 모든 분야에 적용됩니다. 2003년 어묵류 등 6개 식품유형에 식품안전관리 의무화 규정을 신설한 이래 2006년 배추김치, 2014년 과자·캔디류 등 8개 품목 및 100억 매출업체, 2016년 순대·떡볶이떡(떡류)에 대해 식품안전관리인증을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연매출 및 종업원 수에 따라 2020년까지 단계별 의무적용 대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 신청업소에 대하여 서류검토 및 현장실사를 실시하여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의 적용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으며 안전한 식품소비를 위하여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대상 식품을 점차 확대하고 있습니다.

식품안전관리인증의 적용대상

>식품안전관리인증의 적용대상 표
적용업종 세부업종 및 적용품목
식품제조·가공업소 과자류, 빵 또는 떡류, 코코아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 잼류, 설탕, 포도당, 과당, 엿류, 당시럽류, 올리고당류, 식육 또는 알함유가공품, 어육가공품, 두부류 또는 묵류, 식용유지류, 면류, 다류, 커피, 음료류, 특수용도식품, 장류, 조미식품, 드레싱류,
김치류, 젓갈류, 조림식품, 절임식품, 주류, 건포류, 기타 식품류
건강기능식품제조업소 영양소, 기능성 원료
식품첨가물 제조업소 식품첨가물, 혼합제제류
식품접객업소 위탁급식영업,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제과점
즉석판매제조·가공업소, 식품소분업소, 집단급식소식품판매업소, 기타식품판매업소, 집단급식소

 


  1. '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e-book)

    ※ '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e-book으로 보기 20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pdf 미리보기 다운받기 20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서식모음.hwp
    Views11075
    read more
  2.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평가(심사) 매뉴얼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평가(심사) 매뉴얼 Part Ⅰ.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심사 개요 / 1 1.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심사 개요 ·············&...
    Views3338
    read more
  3. 새로운 식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1. 새로운(한시적) 식품원료 인정제도 ·························&midd...
    Views2666
    read more
  4. '18년 식품첨가물공전해설서개정판(제3판)_

    해설서
    Views706
    Read More
  5. '식품공전 해설서' 개정판(2019년 1월)

    '식품공전 해설서' 개정판(2019년 1월)
    Views403
    Read More
  6. 2018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Ⅰ. 식품안전관리 목표 및 주요시책 1. ’18년도 식품안전관리 정책 추진 전략 3 2. 식품안전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 3. 통합식품안전정보망(식품행정통합시스템) 활용 8 Ⅱ. 안전한 식품의 제조・유통기반 조성 1. 식품등의 영업허가 등 관리 15 2. 식품 ...
    Views313
    Read More
  7. 2020년 HACCP 인증업소 자체평가

    자체평가 가이드라인[첨부2] 및 자체평가 매뉴얼, 평가표, 고시[첨부3]
    Views195
    Read More
  8. 2020년 HACCP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

    2020년 HACCP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
    Views109
    Read More
  9. Codex에서는식품취급과관련하여,‘필요시안전성보장을위한주변온도관리’를제시

    (Codex) 식품위생의 일반적 원칙의 규범  온도관리:식품의취급방법에있어식품의가열,냉각,조리,냉장과냉동,냉장 또는냉동식품의보관,식품의온도모니터링및필요한장소에식품의안전성과 적절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주변온도의 관리하는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
    Views108
    Read More
  10. HACCP 7원칙 12절차 소개

    Views733
    Read More
  11. HACCP 선행요건

    해썹(HACCP)을 적용하고자 하는 업체의 영업자는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하면서 위생적으로 식품을 제조·가공·조리하기 위한 기본시스템을 갖추기 위하여 작업기준 및 위생관리기준을 포함하는 선행요건 프로그램을 먼저 개발...
    Views3995
    Read More
  12. HACCP 식품공장 시설·설비 표준 모델

    식품공장 시설·설비 표준 모델 표지, 연구 취지, 현황 위생적인 공장 설계 개념, 녹화 설계 등 건물 외부 전반 건물내부 시설 설계 전반 (벽, 바닥, 배수, 공조 등) 설비 설계 전반 방충 방서, 폐기물관리 등 본 자료는 해당 업체에 적합한 경우 필요한...
    Views1388
    Read More
  13. HACCP 이란?

    추진체계 위해요소 분석이란 “어떤 위해를 미리 예측하여 그 위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요관리점이란 “반드시 필수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항목”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즉 해썹(HACCP)은 위해 방지를 위한 사...
    Views271
    Read More
  14. HACCP 적용분야

    적용분야 식품 및 즉석판매제조·가공업,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소분업, 집단급식소 및 기타식품판매업, 식품접객업 및 집단급식소 등 식품의 제조·가공·유통·외식·급식의 모든 분야에 적용됩니다. 2003년...
    Views363
    Read More
  15. HACCP 제도

    관련 법령 「식품위생법」 제48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식품위생법 시행령」 제33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제34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적용업소에 관한 업무의 위탁 등)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62조(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대상 식품) ~제68조(식품...
    Views32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