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서호 KS Q ISO/IEC 17025 국제공인교정기관 제약분야전문교정기관

식품관련자료

해외 각국 정부, 주요 언론이 발표한 식품안전 정책, 법령, 사건, 사고, 연구조사 결과 등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2018.11.22 11:32

HACCP 이란?

조회 수 2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해썹은 위해요소분석(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의 영문 약자로서 해썹 또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이라 한다.

HA(위해요소분석 :원료와 공정에서 발생가능한 병원성 미생물 등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 분석) + CCP(중요관리점 : 위해요소를 예방, 제거 또는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공정이나 단계를 중점관리)

위해요소 분석이란 “어떤 위해를 미리 예측하여 그 위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요관리점이란 “반드시 필수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항목”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즉 해썹(HACCP)은 위해 방지를 위한 사전 예방적 식품안전관리체계를 말한다.

해썹(HACCP) 제도는 식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인들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사전에 위해요인의 발생여건들을 차단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깨끗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적인 규정을 말한다.

결론적으로 해썹(HACCP)란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 가공, 보존, 유통, 조리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관리점을 결정하여 자율적이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체계라고 할 수 있다.

해썹(HACCP)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식품 안전 관리 체계로 인정받고 있으며, 미국, 일본, 유럽연합, 국제기구(Codex, WHO, FAO) 등에서도 모든 식품에 해썹를 적용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1. '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e-book)

    ※ '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e-book으로 보기 20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pdf 미리보기 다운받기 20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서식모음.hwp
    Views11075
    read more
  2.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평가(심사) 매뉴얼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평가(심사) 매뉴얼 Part Ⅰ.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심사 개요 / 1 1.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심사 개요 ·············&...
    Views3338
    read more
  3. 새로운 식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1. 새로운(한시적) 식품원료 인정제도 ·························&midd...
    Views2666
    read more
  4. HACCP 적용분야

    적용분야 식품 및 즉석판매제조·가공업,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첨가물제조업, 식품소분업, 집단급식소 및 기타식품판매업, 식품접객업 및 집단급식소 등 식품의 제조·가공·유통·외식·급식의 모든 분야에 적용됩니다. 2003년...
    Views363
    Read More
  5. HACCP 이란?

    추진체계 위해요소 분석이란 “어떤 위해를 미리 예측하여 그 위해요인을 사전에 파악하는 것”을 의미하며, 중요관리점이란 “반드시 필수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항목”이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즉 해썹(HACCP)은 위해 방지를 위한 사...
    Views271
    Read More
  6. HACCP 식품공장 시설·설비 표준 모델

    식품공장 시설·설비 표준 모델 표지, 연구 취지, 현황 위생적인 공장 설계 개념, 녹화 설계 등 건물 외부 전반 건물내부 시설 설계 전반 (벽, 바닥, 배수, 공조 등) 설비 설계 전반 방충 방서, 폐기물관리 등 본 자료는 해당 업체에 적합한 경우 필요한...
    Views1388
    Read More
  7. HACCP 선행요건

    해썹(HACCP)을 적용하고자 하는 업체의 영업자는 식품위생법 등 관련 법적 요구사항을 준수하면서 위생적으로 식품을 제조·가공·조리하기 위한 기본시스템을 갖추기 위하여 작업기준 및 위생관리기준을 포함하는 선행요건 프로그램을 먼저 개발...
    Views3995
    Read More
  8. HACCP 7원칙 12절차 소개

    Views733
    Read More
  9. Codex에서는식품취급과관련하여,‘필요시안전성보장을위한주변온도관리’를제시

    (Codex) 식품위생의 일반적 원칙의 규범  온도관리:식품의취급방법에있어식품의가열,냉각,조리,냉장과냉동,냉장 또는냉동식품의보관,식품의온도모니터링및필요한장소에식품의안전성과 적절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주변온도의 관리하는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
    Views108
    Read More
  10. 2020년 HACCP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

    2020년 HACCP 지원사업 설명회 자료
    Views109
    Read More
  11. 2020년 HACCP 인증업소 자체평가

    자체평가 가이드라인[첨부2] 및 자체평가 매뉴얼, 평가표, 고시[첨부3]
    Views195
    Read More
  12. 2018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

    Ⅰ. 식품안전관리 목표 및 주요시책 1. ’18년도 식품안전관리 정책 추진 전략 3 2. 식품안전관리지침 주요 변경사항 4 3. 통합식품안전정보망(식품행정통합시스템) 활용 8 Ⅱ. 안전한 식품의 제조・유통기반 조성 1. 식품등의 영업허가 등 관리 15 2. 식품 ...
    Views313
    Read More
  13. '식품공전 해설서' 개정판(2019년 1월)

    '식품공전 해설서' 개정판(2019년 1월)
    Views403
    Read More
  14. '18년 식품첨가물공전해설서개정판(제3판)_

    해설서
    Views70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