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서호 KS Q ISO/IEC 17025 국제공인교정기관 제약분야전문교정기관

측정기초자료

조회 수 1295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분동세척관련 OIML기술기준

 

 

 Cleaning weights

 

 

 

 

 

It is important to clean weights before any measurements are made because the cleaning process may change the mass of the weight. Cleaning should not remove any significant amounts of weight material. Weights should be handled and stored in such a way that they stay clean. Before calibration, dust and any foreign particles shall be removed. Care must be taken not to change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weight (i.e. by scratching the weight). 

 

 

If a weight contains significant amounts of dirt that cannot be removed by the methods cited above, the weight or some part of it can be washed with clean alcohol, distilled water or other solvents. Weights with internal cavities should normally not be immersed in the solvent to avoid the possibility that the fluid will penetrate the opening. If there is a need to monitor the stability of a weight in use, the mass of the weight should, if possible, be determined before cleaning.

 

 

 

After weights are cleaned with solvents they must be stabilized for the times given in Table B.1.

 

 

 

Table B.1 Stabilization time after cleaning

 

 

 

Weight class

E1

E2

F1

F2 to M3

After cleaning with alcohol

7–10 days

3–6 days

1–2 days

1 hour

After cleaning with distilled water

4–6 days

2–3 days

1 day

1 hour

 

 

 

 

 

Thermal stabilization

 

 

Prior to performing any calibration tests, the weights need to be acclimated to the ambient conditions of the labo- ratory. In particular, weights of classes E1, E2 and F1 should be close to the temperature in the weighing area.

 

B.4.3.1 The mandatory minimum times required for temperature stabilization (depending on weight size, weight class an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temperature of the weights and the room temperature in the labora- tory) are shown in Table B.2. As a practical guideline, a waiting time of 24 hours is recommended.

 

 

 

Table B.2 [11] Thermal stabilization in hours

 

 

 

ÄT*

Nominal value

Class E1

Class E2

Class F1

Class F2

 

 

 

± 20 °C

1 000, 2 000, 5 000 kg

-

-

79

5

100, 200, 500 kg

-

70

33

4

10, 20, 50 kg

45

27

12

3

1, 2, 5 kg

18

12

6

2

100, 200, 500 g

8

5

3

1

10, 20, 50 g

2

2

1

1

< 10 g

1

0.5

 

 

 

± 5 °C

1 000, 2 000, 5 000 kg

-

-

1

1

100, 200, 500 kg

-

40

2

1

10, 20, 50 kg

36

18

4

1

1, 2, 5 kg

15

8

3

1

100, 200, 500 g

6

4

2

0.5

10, 20, 50 g

2

1

1

0.5

< 10 g

0.5

 

 

 

www.seoho.biz

서호 전북 전주시 덕진구 혁신로 586 (54851)

Tel. 063-214-9325 / Fax. 063-214-9328

seoho@seoho.biz

 

 


  1. 열전대 종류와 형태 결정 방법

    열전대 종류와 형태 결정 방법 1. 열전대를 사용할 환경 확인 2. 열전대가 노출될 온도 범위를 확인 3. 열전대 또는 피복 물질에 필요한 화학적 저항성 고려 4. 마모 및 진동에 대한 저항의 필요성 평가 5. 모든 설치 요구사항 나열 (접촉 방식, 센서 연결 방...
    Views373
    Read More
  2. 열전대 전압 대 온도 도표

    열전대 전압 대 온도 도표 열전대는 측정하는 온도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전압 출력을 생성합니다. 아래의 표는 각 열전대 유형(J, K, T, E, N, R, S, B, C 타입) 사용 시 나타나는 전압 수치에 상응하는 온도 도표 입니다. 열전대의 온도 범위, 오차 한계 그리...
    Views2618
    Read More
  3. 엔지니어링플랜트표준용어집(최종)

    엔지니어링플랜트표준용어집(최종)
    Views347
    Read More
  4. 압력의 분류

    1) 절대압 수은주 0 mmHg인 진공을 완전 진공이라 칭하고 이 완전진공을 기점으로 0으로해서 측정되는 학술적인 압력이다. 완전진공을 절대 진공으로 칭하기도 한다. 2) 게이지압 (상대압) 대기압 (1기압)을 기점으로 측정되는 압력 공업적으로 이용되는 압력...
    Views782
    Read More
  5. 압력계의 분류

    1) 액주형 압력계 * U자관(U-tuve manometer) 이것은 구조가 가장 간단한 압력계로서 관경이 일정한 글라스관을 U자형으로해서 그내부 액체 를 충진시키고 양관에 서로 다른 미지의 압력을 가했을 때 또는 일측을 대기 개방 시키고 타측에 미지의 압력을 가하...
    Views4200
    Read More
  6.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는 플랜트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그러나 보통 대량으로 설치가 들어 가기 때문에 오래된 플랜트나 설비 라인에서 많은 수의 압력계와 스위치가 사용 불가능해지는 일은 흔하게 일어납니다. 이 때문에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
    Views337
    Read More
  7. 압력계(탄성식)

    가. 부르돈관(Bourdon -Tube) 압력계 1) 측정원리 탄성식 압력계는 수압부에 탄성체를 사용해서 측정하고자 하는 압력을 가했을때 가해진 압력에 비례하는 단위 압력당의 변형량을 아는 상태에서, 이에 대응된 변형량만을 측정함으로써 압력을 구하는 방법이다...
    Views631
    Read More
  8. 압력계(액주식 )

    가. 측정원리 일반적으로 투명 Glass 관을 이용하여 Glass관 내부 액체를 충진시키고 미지 압력을 가할때 관내부 액의 Level이 변화하고 이 변화된 액의 위치를 측정함으로 압력을 구하는 압력계이다. 임의 관경 Glass관 내부 단면적 상에 임의 높이의 액주가...
    Views983
    Read More
  9. 압력 측정 방법

    가. 측정 방법 압력계라고 하는 것은 주로 유체 압력을 측정하는 것에 사용되어지는 계기의 총칭으로서 대기의 압력 측정에 사용되는 기압계외에 여러 종류의 압력계 즉, 액체 압력계 탄성 압력계, 분동식 압력계등 특히 고압에 대해서는 기체압력계, 전기저항...
    Views355
    Read More
  10. 분동의 선택방법

    여기서 n은 다음과 같음 n(눈금수) = Max(최대용량) / (e)검정눈금값 분동 선택의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음 Max : 2000 g e : 0.01 g 인 저울을 검사하고자 할 경우 필요한 분동은? n = 2000 / 0.01 = 200,000 이므로 E2급 등급의 분동 필요
    Views438
    Read More
  11. 분동세척관련 OIML기술기준

    분동세척관련 OIML기술기준 Cleaning weights It is important to clean weights before any measurements are made because the cleaning process may change the mass of the weight. Cleaning should not remove any significant amounts of weight materia...
    Views1295
    Read More
  12. 분동 허용 오차

    분동 허용 오차
    Views763
    Read More
  13. 부품의 극성 및 양부 판별법

    부품의 극성 및 양부 판별법 회로시험기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와 같은 소자의 양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정밀한 특성을 알 수는 없지만 부품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 정도는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소개하는 내...
    Views507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