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서호 KS Q ISO/IEC 17025 국제공인교정기관 제약분야전문교정기관

식품관련자료

해외 각국 정부, 주요 언론이 발표한 식품안전 정책, 법령, 사건, 사고, 연구조사 결과 등 최신 정보를 제공합니다.
조회 수 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일과 채소, 통곡물을 많이 섭취하더라도 식염을 많이 섭취한다면 여전히 고혈압 위험이 높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고혈압(Hypertension)에 발표됐음.
 
예전부터 고나트륨식 섭취는 혈압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왔지만, 일각에서는 체중과 식이에 함유된 다른 영양소들이 혈압에 대한 나트륨의 영향을 상쇄시키거나 바꿀 수도 있다는 근거가 제시되었음.
 
이번 노스웨스턴대학교 소속 주저자는 식이가 식염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과 영국, 중국 일본의 40세에서 59세 성인 4,680명의 소변과 혈액 중 나트륨과 칼륨 데이터, 키와 몸무게, 식습관을 조사했고, 각 개인의 식단에 함유된 80가지 영양소 함량을 알아보았음. 칼륨을 제외한 어떠한 영양소도 고나트륨식과 고혈압 사이의 상관관계 약화에 영향을 주지 않았음. 이번 연구의 남성과 여성 모두 인종과 민족성, 사회경제적 지위와 무관하게 나트륨 수준이 높을수록 혈압이 높았음. 또한, 정상 체중인 사람과 비만인 사람에게 모두 나트륨과 혈압이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과체중인 사람의 경우는 미미했음.
 
나트륨은 식염뿐 아니라 빵과 우유, 달걀, 식육, 패류 그리고 스프와 프레젤, 팝콘, 간장과 같은 가공식품에도 존재함. 혈중 나트륨이 과도하면 삼투압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심장 운동에 필요한 체액이 증가하여 혈압이 높아지게 됨. 칼륨은 체내 과도한 나트륨 제거에 도움이 되기도 함.
 
연구진은 소변 중 나트륨이 저수준으로 나타난 사람에 한해 칼륨이 식염과 혈압 사이의 상관성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보였다고 전했음.
 
이번 연구는 식이를 통한 식염이나 어떤 다른 요소가 혈압 변화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증명해보이기 위해 설계된 연구가 아니라는 한계점이 있음.
 
(*)http://hyper.ahajournals.org/content/early/2018/03/02/HYPERTENSIONAHA.117.09928 

 

 

www.seoho.biz

서호 전북 전주시 덕진구 혁신로 586 (54851)

Tel. 063-214-9325 / Fax. 063-214-9328

seoho@seoho.biz


  1. No Image notice by Views 11076 

    '21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e-book)

  2. No Image notice by Views 3338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평가(심사) 매뉴얼

  3. No Image notice by Views 2666 

    새로운 식품원료의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

  4. No Image 23Mar
    by
    Views 650 

    식품등의 자가품질검사 매뉴얼

  5. No Image 23Mar
    by
    Views 226 

    식품공전 잔류농약 분석법 실무해설서 (제4판)

  6. No Image 23Mar
    by
    Views 522 

    식품「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7. No Image 23Mar
    by
    Views 1652 

    식품 중 이물 판별 매뉴얼

  8. No Image 23Mar
    by
    Views 333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분류체계(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고시 제2017-001호, 2017.6.20. 제정)

  9. No Image 23Mar
    by
    Views 765 

    건강기능식품 품목제조신고 해설서

  10. No Image 23Mar
    by
    Views 244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치아건강 개선에 도움편)

  11. No Image 23Mar
    by
    Views 294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갱년기 여성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개정

  12. No Image 23Mar
    by
    Views 143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 개정고시 알림

  13. No Image 23Mar
    by 서호
    Views 87 

    [연구결과]미국, 좋은 식단도 짜면 고혈압 면치 못해

  14. No Image 23Mar
    by
    Views 83 

    [연구결과]미국, 노로바이러스 확산 막는 효과적인 방법은 '손씻기'

  15. No Image 22Nov
    by
    Views 323 

    HACCP 제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