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서호 KS Q ISO/IEC 17025 국제공인교정기관 제약분야전문교정기관

측정기초자료

온도센서Thermocouple 과 RTD 를 통한 정확한 온도 측정 – 진동의 간섭을 방지하는 법

온도 측정 진동 저항 h Thermocouple과 RTD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온도 센서입니다.
Thermocouple은 두 개의 상이한 금속이 두 개의 접점에서 합쳐지면 접점에서 기전력이 생성된다는 지벡 효과의 원칙에 의하여 작동합니다. 금속은 온도 변화에 반응하여 접점에서의 온도 차이로 인한 기전력 전압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RTD는 온도가 증가하면 전기 저항도 증가한다는 규칙에 의하여 기능합니다.
센서 조립에 사용되는 금속의 유형은 정확도, 측정 범위, 반응시간 그리고 진동과 같은 환경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 대한 저항에 영향을 줍니다.
Grounded Junction
접지 (Grounded Junction)
OMEGACLADTM Probes
Ungrounded Junction

비접지 (Ungrounded Junction)
OMEGACLADTM Probes

 

 

 
 

1PT100G Glass Wire-Wound RTDs

권선형 (Wire-wound RTD)

 

TFD Thin-Film RTD shown magnified

박막형 (Thin-Film RTD)

Thermocouple / RTD 센서 구조

Thermocouple 접점은 접지(Grounded junction) 또는 비접지(Ungrounded junction)일 수 있습니다.
보호용 금속이 종종 접점을 덮지만 응답시간 개선을 위하여 노출된 채로 유지될 수도 있습니다. 정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지가 빈번하게 필요합니다. 그러나 Thermocouple이 기계 또는 기타 전기동력 장치에 접지되는 경우 회로 잡음이 측정을 방해할 수도 있습니다. Thermocouple의 구조에는 서로 다른 금속의 다양한 조합이 사용됩니다. 각각은 온도 범위 및 수용 가능한 측정 환경에 따라 분류됩니다. 금속 덮개를 가진 Thermocouple은 꽤 튼튼하고 평균적으로 RTD보다 진동에 덜 민감합니다.

RTD는 권선형 또는 박막형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권선형 RTD (Wire-wound RTD)는 매우 정확합니다. 권선형 RTD는 선 또한 융합되는 유리 또는 세라믹 코어 주변에 구리, 니켈 또는 백금 선을 감아서 만들어집니다. 유리 코어의 RTD 센서는 보호조치 없이도 대부분의 액체에 담글 수 있는 반면 세라믹 코어 RTD 센서는 예외적으로 높은 온도 측정 시에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백금은 가장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최고의 정확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가장 선호되는 선입니다. ASTM-E1137은 백금 저항 센서의 허용치를 규정한 국제표준입니다. 이 표준이 정한 사양에 따라 제조 및 시험이 이루어진 RTD는 더 높은 신뢰성과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표준은 온도 센서 선택의 기준 중 하나로 빈번하게 사용됩니다.

박막형 RTD (Thin-film RTD)는 권선형 RTD (Wire-wound RTD)에 비하여 진동에 상당히 강합니다.
박막형 RTD는 화학적으로 용해나 반응이 안 되도록 처리한 백금 박막을 세라믹 기본 물질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집니다. 선호하는 저항을 만들기 위하여 소재에 전기 회로의 식각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RTD는 온도-저항의 선형 곡선을 보여주므로,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 매우 정확하고 일관된 측정값을 보여줍니다. 박막형 RTD의 초박형 크기는 빠른 반응시간과 열 충격 및 진동에 대한 더 나은 저항이라는 장점을 가집니다.

진동이 존재하는 경우 온도 측정의 어려움

 

진동은 Thermocouple 및 RTD 와이어에 기계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Thermocouple은 절연 실패 및 회로 쇼트로 이어질 수 있는 진동 피로에 취약합니다. 이는 접점이 아닌 쇼트에서 이루어진 측정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판독값에서 뚜렷하게 드러날 수 있습니다. 권선형 RTD는 특히 진동 피해에 민감합니다. 센서를 감는데 사용되는 가는 백금 선은 보통 15에서 35미크론의 지름을 가지며 아주 쉽게 손상됩니다. 끊어지거나 망가진 RTD 센서 선은 다음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오픈 서킷 open circuit
  • 잡음이 있는 신호 Noisy signal
  • 산발적인 높은 온도 측정값
비 교정화 Decalibration 는 진동에 노출된 Thermocouple에서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고장상태입니다. 이는 전압-온도 특성이 더 이상 국제규격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 온도센서가 변형되는 과정입니다. 교정Calibration 이 흐트러지는 현상의 가장 큰 문제점은 온도 측정이 정확한 것처럼 보인다는 점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판독값은 점차적으로 움직이게 되지만,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게 됩니다. 이럴 때 Thermocouple을 캘리브레이터로 테스트 하는 것이 비 교정화를 감지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센서에 영향을 주는진동 유형

 

기계 진동은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발생합니다. 흔히 모터, 펌프 또는 압축기의 운동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해를 유발하는 정도는 진동의 진폭 및 발생빈도에 비례합니다. 진폭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물체에 가해지는 힘입니다.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의 회전속도는 진동의 진폭에 영향을 줍니다. 모터의 회전이 빨라질수록 진폭은 커집니다. 발생빈도 또한 진동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요인입니다. 빈도는 기계장치가 힘을 받아 앞뒤로 움직이는 속도입니다. 기계는 다양한 수준의 진폭 및 빈도로 여러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습니다.

음향에 의한 진동은 사람의 목소리와 자동차 소리뿐만 아니라 터빈 및 엔진과 같은 다수의 기계장치들에 의하여 만들어집니다. 음향에 의한 잡음이 구조로 들어가면 구조 진동이 됩니다. 음파는 공기의 흐름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이동 가능하므로 어떠한 방향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향은 최초 발생한 소리가 멈춘 후에 소리가 지속되는 것입니다. 이는 표면을 반사한 음파의 결과입니다. 음향의 특성은 음향이 반사하는 물체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음향의 반응 방식 예측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유체에서 진동은, 유체에 투입되거나 유체를 운반하는 구조물의 관성과 유체 흐름 간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유체 흐름은 기계적 및 구조적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는 에너지의 원천입니다. 원통형 구조물의 경우 진동은 실린더 축에 대한 유입 유체의 각도에 따라 축류(axial-flow) 유도 또는 직교류(cross-flow) 유도 진동으로 분류됩니다.

 

 

 

 

 

 

 

 

 

 

 

 

 

 

 

 

 

 

 

 

 

 

 

 

www.seoho.biz

서호 전북 전주시 덕진구 혁신로 586 (54851)

Tel. 063-214-9325 / Fax. 063-214-9328

seoho@seoho.biz


  1. 테스터의 기본 사용법

    테스터의 기본 사용법 테스터의 종류 테스터에는 펜타입으로 액정표시부가 부착된 것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나 네온램프만 붙어있는 검전 드라이버와 옛날부터 많이 사용되어오던 아날로그 멀티메타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멀티메타와 포켓용 ...
    Views4710
    Read More
  2. 측정과유효숫자

    측정과유효숫자
    Views540
    Read More
  3. 유량계를 선택하기 위한 핵심 질문

    유량계를 선택하기 위한 핵심 질문 1. 측정 대상 유체는 무엇이고 속성은 어떠한가? 2. 유속 측정 및/또는 누계가 필요한가? 3. 액체가 물이 아니라면, 점도는 얼마인가? 4. 유량계에 로컬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신호 출력이 필요한가? 5. 최소 및 최대 유속은...
    Views305
    Read More
  4. 유량계(면적식)

    . 면적식 유량계 가. 면적식 유량계 원리 차압유량계는 유체의 유동통로가 고정되어 있으며, 조리기구 상하류에서 측정된 차압이 유량과의 함수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면적식 유량계는 유체의 통로가 유량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
    Views2229
    Read More
  5. 유량계

    유량 측정의 원리와 요소 이해 유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유량계 적용분야의 환경에 대해 명확한 이해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공정 유체의 특성과 설치 환경을 온전히 파악하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여야 합니다. 올바른 유량계의 선...
    Views519
    Read More
  6. 온도센서 원리 4. 온도 척도 Temperature Scale 에 대해서

    써모미터를 만들 때 파렌하이트는 온도 척도가 필요했습니다. 그는 염수의 빙점을 30도로 끓는 점을 180도 이상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그 이후 32F에서 얼고 212F에서 끓는 약간 더 높은 온도를 가진 순수한 물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25년 후 안데르스 ...
    Views432
    Read More
  7. 온도센서 원리 3. 열 복사 (Thermal Radiation)

    매우 뜨겁거나 녹은 금속은 빛을 내며 열과 가시광선을 발산합니다. 이러한 금속은 또한 온도는 낮지만 파장이 더 긴 열을 방사합니다. 영국의 천문학자인 윌리엄 허셜은 1800년경에 이러한 ‘어두운 빛’ 또는 적외선이 열을 발생시킴을 최초로 인...
    Views984
    Read More
  8. 온도센서 원리 2.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전도와 저항, 열전 효과

    Thermocouple - 19세기 초에 전기는 과학적 탐구에 있어서 흥미로운 분야가 되었으며 과학자들은 곧 금속들이 다양한 저항과 전도를 가짐을 알게 되었습니다. 1821년 토마스 요한 지벡은 상이한 금속들의 끝부분이 합쳐져 열에 노출될 때 전압이 발생함을 발견...
    Views468
    Read More
  9. 온도센서 원리 1. 온도에 따른 팽창: 액체 및 바이메탈

    갈릴레오는 1592년경에 온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장치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장치는 물기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의 수축을 이용한 것으로 보이며 물기둥의 높이는 냉각의 정도를 나타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공기의 압력에 큰 ...
    Views470
    Read More
  10. 온도센서 Thermocouple 과 RTD 를 통한 정확한 온도 측정 – 진동의 간섭을 방지하는 법

    온도센서Thermocouple 과 RTD 를 통한 정확한 온도 측정 – 진동의 간섭을 방지하는 법 Thermocouple과 RTD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온도 센서입니다. Thermocouple은 두 개의 상이한 금속이 두 개의 접점에서 합쳐지면 접점에서 기전력이 생성된다는 지...
    Views1849
    Read More
  11. 온도센서

    온도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하여 측정 가능합니다. 일단 측정 대상과 접촉하여 그 온도변화에 반응하는 접촉식과, 측정 대상이 방출하는 에너지를 감지하는 비접촉 온도센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접촉식 온도센서에는, 특정 온도의 기전력을 감지하는 열...
    Views337
    Read More
  12. 온도 Thermocouple Wire의 최대 사용 길이

    Thermocouple Wire의 최대 사용 길이 써모커플의 사용 가능한 길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지침으로써 20 AWG이상의 두께에 100피트(30m) 보다 짧은 거리는 전자파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보통 문제가 없습니다. 온도를 측정하는 곳과 ...
    Views548
    Read More
  13. 열전대의 원리와 종류

    열전대의 구성과 작동 원리 서로 다른 금속으로 구성된 두 개의 선을 양쪽 끝을 한데 묶어서 한쪽 선에만 열을 가하면 열전회로에 지속적으로 흐르는 전류가 생겨납니다. 이러한 회로가 중간에서 끊어지면 개방회로의 전압(지벡 전압 Seebeck voltage)은 접합...
    Views368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