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서호 KS Q ISO/IEC 17025 국제공인교정기관 제약분야전문교정기관

측정기초자료

조회 수 373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뷰어로 보기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열전대의 구성과 작동 원리

서로 다른 금속으로 구성된 두 개의 선을 양쪽 끝을 한데 묶어서 한쪽 선에만 열을 가하면 열전회로에 지속적으로 흐르는 전류가 생겨납니다. 이러한 회로가 중간에서 끊어지면 개방회로의 전압(지벡 전압 Seebeck voltage)은 접합온도와 두 금속의 구성에 의한 기능입니다. 이는 두 금속의 접합부가 가열 또는 냉각되면 전압이 생성되어 온도와 상관관계를 가지게 됨을 의미합니다.
 

열전대 종류

열전대는 다양한 금속 쌍 교정(Calibration) 조합으로 제공됩니다. 가장 보편적인 기본 금속 열전대는 J, K, T, E, N 타입 입니다. 이외 R, S, B, G(W), C(W5), D(W3) 타입은 고온 측정에 특화 된 귀금속 및 합금 재질 열전대 입니다. U, V 타입은 비보상 구리 재질로 온도 기준이 정립되지 않아 열전대 온도센서로는 이용되지 않습니다.                         


열전대 종류 각 교정 조합은 서로 다른 온도 범위와 환경을 가지며, 열전대 금속 타입 자체의 성질 외에도 와이어의 직경, 피복과 같은 구성에 따라 온도 범위와 특성이 좌우 됩니다.

열전대 교정 조합(캘리브레이션)이 온도 범위를 제어하긴 하지만 최대 범위는 또한 열전대 와이어의 직경에 의하여 제한됩니다. 즉, 매우 얇은 열전대 와이어는 최대 온도 범위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K타입 열전대는 저렴한 가격과 일반적인 온도 범위로 인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열전대 종류 입니다.
 

열전대 종류와 형태 결정 방법


1. 열전대를 사용할 환경 확인

2. 열전대가 노출될 온도 범위를 확인

3. 열전대 또는 피복 물질에 필요한 화학적 저항성 고려

4. 마모 및 진동에 대한 저항의 필요성 평가

5. 모든 설치 요구사항 나열 (접촉 방식, 센서 연결 방식, 온도를 재는 환경과 매질 특성, 공간 크기, 연결 장비 관련 등)

열전대 종류의 선택 기준

열전대는 넓은 온도 범위 측정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튼튼하기 때문에 산업계에서 매우 빈번히 사용됩니다. 다음의 기준은 열전대의 선택 시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 

- 온도 범위
- 열전대 또는 피복 물질의 내화학성
- 내마모성과 내진동성
- 설치 요구사항(기존의 장비와의 호환 필요성, 기존의 구멍이 탐침기의 구멍과 맞을지 여부)
 

열전대 반응 속도 - 시간 상수(time constant)란 무엇인가?

시간상수는 센서가 특정한 조건 하에서 온도 변화 단계의 63.2% 지점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으로 규정됩니다. 센서가 100%의 변화수치에 도달하는데 다섯 가지의 시간상수가 필요합니다. 열전대의 접지와 직경에 따라 반응속도는 달라집니다. 노출 접점 열전대는 가장 빠른 반응을 제공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을수록 반응이 빨라집니다. 그러나 최대 온도는 낮아집니다. 직경 외에도 열전대의 금속 쌍을 감싸고 있는 피복이나 금속관 재질에 따라서도 온도 범위는 달라집니다. 열전대 와이어나 열전대 프로브의 경우, 구성 피복이나 금속과 같은 절연/보호 재질이 해당 열전대가 측정할 수 있는 온도 범위까지 견디지 못할 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일반 플라스틱 수지(PVC, PFA 등)의 최대 사용 온도는 극 고온 범위를 감당할 수 없으므로, 고온 측정 시에는 이에 맞는 피복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열전대 접합 유형 - 접합(Junction) 이란 무엇인가?

금속관으로 보호 처리를 한 써모커플 프로브 타입의 경우, 써모커플과 시스(Sheath) 간 접점은 접지, 비접지 또는 노출 중 한가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접지 Grounded Juction 형태 끝 부분에는 열전대 와이어가 물리적으로 시스에 용접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시스를 통하여 열전대 접합부까지 양호한 열 전달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빠른 반응 시간을 제공하지만, 전기 접지 루프에 민감합니다. 비접지 Ungrounded Junction 형태의 경우 열전대 접합부는 시스로부터 떨어져 있습니다. 반응 시간은 접지형보다 느리지만 비접지형은 전기적 차폐 처리(Isolation)가 됩니다. 노출 Exposed Junction 형태는 열전대의 끝이 피복 벽면 밖으로 돌출되어 접합부가 노출됩니다. 따라서 부식성이 없는 환경에서 빠른 응답속도가 요구될 때 적합합니다.   

 

 

www.seoho.biz

서호 전북 전주시 덕진구 혁신로 586 (54851)

Tel. 063-214-9325 / Fax. 063-214-9328

                     seoho@seoho.biz                     

  • ?
    서호 2018.03.19 16:04
    열전대 원리 - 지벡 효과
    1821년 토마스 지벡Thomas Seebeck은 서로 다른 두 금속선의 끝을 묶어서 한 쪽을 가열하면 열전회로에서 지속적인 전류 흐름이 생기는 현상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를 지벡 효과라고 하며, 금속 쌍에 가해지는 열에 따라 발생하는 일정한 기전력을 토대로 온도 값을 환산하여 측정하는 것이 열전대의 원리 입니다.

  1.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는 플랜트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그러나 보통 대량으로 설치가 들어 가기 때문에 오래된 플랜트나 설비 라인에서 많은 수의 압력계와 스위치가 사용 불가능해지는 일은 흔하게 일어납니다. 이 때문에 압력계와 압력 스위치...
    Views337
    Read More
  2. 압력계의 분류

    1) 액주형 압력계 * U자관(U-tuve manometer) 이것은 구조가 가장 간단한 압력계로서 관경이 일정한 글라스관을 U자형으로해서 그내부 액체 를 충진시키고 양관에 서로 다른 미지의 압력을 가했을 때 또는 일측을 대기 개방 시키고 타측에 미지의 압력을 가하...
    Views4200
    Read More
  3. 압력의 분류

    1) 절대압 수은주 0 mmHg인 진공을 완전 진공이라 칭하고 이 완전진공을 기점으로 0으로해서 측정되는 학술적인 압력이다. 완전진공을 절대 진공으로 칭하기도 한다. 2) 게이지압 (상대압) 대기압 (1기압)을 기점으로 측정되는 압력 공업적으로 이용되는 압력...
    Views782
    Read More
  4. 엔지니어링플랜트표준용어집(최종)

    엔지니어링플랜트표준용어집(최종)
    Views347
    Read More
  5. 열전대 전압 대 온도 도표

    열전대 전압 대 온도 도표 열전대는 측정하는 온도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전압 출력을 생성합니다. 아래의 표는 각 열전대 유형(J, K, T, E, N, R, S, B, C 타입) 사용 시 나타나는 전압 수치에 상응하는 온도 도표 입니다. 열전대의 온도 범위, 오차 한계 그리...
    Views2620
    Read More
  6. 열전대 종류와 형태 결정 방법

    열전대 종류와 형태 결정 방법 1. 열전대를 사용할 환경 확인 2. 열전대가 노출될 온도 범위를 확인 3. 열전대 또는 피복 물질에 필요한 화학적 저항성 고려 4. 마모 및 진동에 대한 저항의 필요성 평가 5. 모든 설치 요구사항 나열 (접촉 방식, 센서 연결 방...
    Views373
    Read More
  7. 열전대의 원리와 종류

    열전대의 구성과 작동 원리 서로 다른 금속으로 구성된 두 개의 선을 양쪽 끝을 한데 묶어서 한쪽 선에만 열을 가하면 열전회로에 지속적으로 흐르는 전류가 생겨납니다. 이러한 회로가 중간에서 끊어지면 개방회로의 전압(지벡 전압 Seebeck voltage)은 접합...
    Views3732
    Read More
  8. 온도 Thermocouple Wire의 최대 사용 길이

    Thermocouple Wire의 최대 사용 길이 써모커플의 사용 가능한 길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지침으로써 20 AWG이상의 두께에 100피트(30m) 보다 짧은 거리는 전자파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보통 문제가 없습니다. 온도를 측정하는 곳과 ...
    Views583
    Read More
  9. 온도센서

    온도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에 의하여 측정 가능합니다. 일단 측정 대상과 접촉하여 그 온도변화에 반응하는 접촉식과, 측정 대상이 방출하는 에너지를 감지하는 비접촉 온도센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접촉식 온도센서에는, 특정 온도의 기전력을 감지하는 열...
    Views372
    Read More
  10. 온도센서 Thermocouple 과 RTD 를 통한 정확한 온도 측정 – 진동의 간섭을 방지하는 법

    온도센서Thermocouple 과 RTD 를 통한 정확한 온도 측정 – 진동의 간섭을 방지하는 법 Thermocouple과 RTD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온도 센서입니다. Thermocouple은 두 개의 상이한 금속이 두 개의 접점에서 합쳐지면 접점에서 기전력이 생성된다는 지...
    Views1880
    Read More
  11. 온도센서 원리 1. 온도에 따른 팽창: 액체 및 바이메탈

    갈릴레오는 1592년경에 온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장치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장치는 물기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의 수축을 이용한 것으로 보이며 물기둥의 높이는 냉각의 정도를 나타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공기의 압력에 큰 ...
    Views496
    Read More
  12. 온도센서 원리 2.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 전도와 저항, 열전 효과

    Thermocouple - 19세기 초에 전기는 과학적 탐구에 있어서 흥미로운 분야가 되었으며 과학자들은 곧 금속들이 다양한 저항과 전도를 가짐을 알게 되었습니다. 1821년 토마스 요한 지벡은 상이한 금속들의 끝부분이 합쳐져 열에 노출될 때 전압이 발생함을 발견...
    Views504
    Read More
  13. 온도센서 원리 3. 열 복사 (Thermal Radiation)

    매우 뜨겁거나 녹은 금속은 빛을 내며 열과 가시광선을 발산합니다. 이러한 금속은 또한 온도는 낮지만 파장이 더 긴 열을 방사합니다. 영국의 천문학자인 윌리엄 허셜은 1800년경에 이러한 ‘어두운 빛’ 또는 적외선이 열을 발생시킴을 최초로 인...
    Views101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위로